'화가의 글씨, 서가의 그림'은 한국 미술사를 어떤 관점에서 기술할 것인가로 귀결되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20년 기념전을 만나보자.
서화書畫와 미술美術의 단절시대라 말해온 20세기 한국에서 서화를 서화미술書畫美術로 도약해 낸 작고 작가들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 이분들의 공통점은 지난 세기 서양미술이 도래할 때 동경유학을 통해 서양미술을 수용하면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일생을 서예書藝에 정진한 작가들이다. 이분들이 이룩한 화업畫業을 통해 지난 세기 한국미술계의 진정한 과업課業이 무엇이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지금의 한국미술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미래전망을 이야기하는 데 있어 이번 <화가의 글씨, 서가의 그림> 전은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보다 확대된 이미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는 김광업(1906~1976)과 최규명(1919~1999) 두 분의 서예가와 걸레 스님으로 알려진 시 인이자 서화가 중광(1934~2002), 그리고 이응노(1904~1989)와 황창배(1947~2001) 동양화가 두 분 과 서양화가 곽인식(1919~1988), 김환기(1913~1974), 정규(1923~1971), 한묵(1914~2016) 네 분, 조각가 김종영(1915~1982), 비디오 작가 백남준(1932~2006) 해서 총 열 한 분의 작고 작가 작품을 전시한다. 연배로 보면 이응노와 김광업은 ‘경술국치’ 이전에 태어났고, 네 분의 서양화가와 김종영은 일제강점기 동경 유학을 했으며, 백남준과 중광은 해방 후 우리 손으로 설립한 미술대학에서 교육받은 일 세대 작가인 앵포르멜 세대와 동년배이며, 황창배는 해방둥이라 할 수 있다. 전통 서화에서 미술로 전환되던 시기에 서예와 미술에 정진한 작가들이다.
서양의 추상미술을 서화 전통에서 사의(寫意), 즉 뜻을 그리던 전통을 토대로 대등한 입장에 서 비교하고 분석하며 받아들였다. ‘어떻게’에 만 관심을 두고 서둘러 서구 미술을 모범으로 삼아 따라 가려는 세태와는 정반대로, ‘왜’와 ‘무엇을’ 질문하며 끊임없이 전통을 새롭게 해석하며 자기화(自己化) 하고자 했다. 이는 한국이라는 지역적인 특수성에서 인류 보편성을 찾아내려는 노력이었고, 세계 속의 한국미술을 지향하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최우선 과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서화 전통은 여전히 재해석할 가치가 있는 전통이라는 결론이다.
초대작가 작품을 통해 한국미술계의 과업, 즉 전통 서화가 서양미술과 문화접변을 통해 서화미술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21세기 한국미술이 '세계 속의 한국미술'로 나아가기 위해 참고할 바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보다 확대된 이미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김환기, 백남준, 정규 (미술가로 특별히 서예에 정진하지는 않은 작가)
곽인식, 김종영, 한묵 (미술가로 서예에 정진한 작가)
이응노, 황창배 (동양화가로 서예에 정진한 작가)
김광업, 최규명 (서예가로 국전에 참여하지 않은 작가)
중광 (화가도 서예가도 아니나 서화에 정진한 작가)
전시는 초대한 작가를 다음과 같이 5개의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작가군을 나누는 기준은 '서예'이다. 이분들은 제도권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자신의 작업 세계를 발전시켜 나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분들이 생전에 남긴 중요한 어록을 작품과 함께 전시하여, 이 작가분들이 어떤 자세로 서양미술을 수용했는지 이분들의 고뇌를 헤아려보자.
전시일정 : 2021년 3월 5일 ~ 2021년 4월 25일 =
전시장소 : 김종영미술관 신관 (서울 종로구 평창 32길 30)
관람시간 : 화~일요일 (매주 월요일 휴관)
전시기획 : 박춘호(김종용미술관 학예실장), 이동국(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수석큐레이터)
인스타그램 : @kcymuseum
공식 홈페이지 : kimchong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