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작가 윤미현은 2012년 데뷔 이래로 꾸준히 회색지대에 있는 자들의 이야기를 써왔다. 가령 “노령화 사회의 노인, 가진 것 없는 서민, 이민자” 등. 구조적으로 소외됐던 서민들에 대한 이야기, 다른 말로 ‘이도저도’ 아닌 상태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사람들에 대한 주목인 것.
연극 <양갈래머리와 아이엠에프>는 아파트 주민들로부터 갑질을 밥 먹듯이 당하는 경비원 김아무개 씨(이하 김씨)와 그 주변사람들의 이야기다. 김씨는 주민들의 외제차를 닦고, 먹던 바나나를 받는 등 부당한 일을 겪는다. 연극의 첫 장면에서, 기자는 갑질을 고발하는 기사를 쓰기 위해 김씨를 설득한다. “양심”있고 “정의”로운 사회를 위한 것이라며. 하지만 김씨는 기자의 요구를 거절하고 기자는 몰래 김씨의 사진을 찍어 뉴스에 보도한다. 사실 김씨가 기자의 요구를 거절한 데에는 이유가 있다. 김씨는 IMF(1997년부터 유행했던 외환위기)로 실직한 이후 생계유지를 위해 횟집, 정육점, 슈퍼, 찜닭집, 치킨집까지 온갖 장사를 전전해왔기 때문이다. 실패의 격랑을 경험했던 김씨는 서러울지언정 경비원이라는 “비교적” 안정적인 직업을 더욱더 포기할 수 없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