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입하는 소리, 틈입의 죽음
- 마테를링크 <틈입자 The Intruder>
우리는 희곡을 읽기 전, 맨 첫 단계로 제목을 통해 작품과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이 작품의 제목인 ‘틈입자’라는 말은 내게 생소한 단어였다. 그래서 원제인 “The Intruder”로써 ‘침입자’, ‘불청객’’; 원치 않는 불허가의 존재ㅡ 라는 이미지를 처음 접한다. 제목은 작가가 극 안에 던져놓은 하나의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단편적인 심상을 가지고 그리 길지 않은 극을 찬찬히 읽어 내려간다.
작가 모리스 마테를링크는 죽음과 운명을 주소재로 다룬다. 대표적인 상징파 작가로 불리기도 한다. 대상을 직접적으로 묘사하지 않고 침묵이나 여타 매개물을 통해 대상을 연상시킨다 것. 별 사건이 없는 작품을 쓴 안톤 체홉처럼 연극이 거대한 사건이 되는 것을 배격했다는데, 이 작품 또한 그렇다. 그저 등장인물의 대사와 반복적인 몇 개의 소음들로만 극이 이루어져 있다. 이 극은 여타 연극과 다르게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되지 않는다. 연극에서 ‘사건’이라면 인물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인데 사건이 부재하기에 인물의 행동 또한 모호하게 느껴진다.
극을 추진력 있게 끌어가는 사건이 없다고 할 수 있는 이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바로 ‘소리’와 ‘인물들’이다. 소리와 인물들의 뭉텅이가 그저 하나의 에피소드로서 여겨지고, 분위기가 극을 이끈다. 이 작품 내에선 많은 소리들이 등장한다. 어멈의 소리, 나이팅게일이 우는 소리, 정원사가 낫을 가는 소리, 정각마다 치는 시계 소리, 누군가 오는 소리, 램프 불이 흔들리는 소리, 마지막으로 아기방에서 들리는 두려움의 울음소리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