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이 내세울 수 있는, 덕목을 노래하는


뮤지컬 <레드북> REVIEW

  

 보수적이었던 영국 빅토리아 시대, ‘레드북이라는 이름의 한 잡지가 출간된다. 신사의나라 영국에서 야한 내용 때문에 거센 영향을 일으킨다. 사람들은 반대 시위를 하고 가장 적나라한 묘사를 쓴 작가 안나를 찾는다. 뮤지컬 레드북은 야한 소설을 쓴 여성 작가 안나에 대한 이야기다.


 안나가 글을 쓰던 시대 배경은 19세기 영국이다. 이때의 영국은 위에서도 말했듯 사회 전반적으로 보수적이었고 여성의 인권은 매우 낮았다. 여성의 인권은 그저 남성의 소유물로서 행사할 수 있었다. 그렇기에 여성이 돈을 벌거나투표를 하는 등의 사회적 활동 역시 불가했다. 오로지 남성과 결혼하여야 재산 상속 또한 가능했다.

그런 시대상황에서 안나는 개의치 않고 일자리를 구하려 한다. 이상한 여자라고 낙인 찍힌 안나는 난 뭐지라고 정체성을 고민하며 노래하고, 일자리를 구하던 중 자신이 과거에 모셨던 할머니의 손자인 브라운을 만난다. 브라운은 대의적인 신사의 도리를 노래하며 신사답게 행동하려는 신사다. 브라운은 왜 자신의 할머니가 하녀였던 안나에게 재산 일부를 남길만큼 안나가 소중한 무언가를 알려주었는지 궁금해한다.


그것은 바로 이야기였다. 사랑의 가치와 내가 포함된. ‘슬플 때마다 야한 상상을 한다’라던 안나는 여성의 성적 욕망이 금기시되던 때에 글을 썼고 사람들에게 널리 퍼트렸다.


뮤지컬 레드북 온라인 쇼케이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을 알고 싶어한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무엇을 좋아하는지와 같은 숱한 질문들을 통해 라는 인물의 형상을 더 뚜렷히 만들어간다. 안나는 사회에서 필명을 쓰라고 하든정신질환이 있는 여성으로 낙인 찍든 말든 자신은 이야기를 하는 것이 자신을 행복하게 만드는 일임을 알았다. 자신이 야한 상상을 하든 그것을 글로 쓰든간에 의 모습임을 받아들인 것이다. 

 

안나라는 캐릭터로 시작한 이야기는 보편적인 결론에 이른다. ‘레드북으로 인해 재판장에 서야 했던 안나를 위해 브라운은 사람들의 후기를 판사에게 건낸다. 사람들은 모두 억압적인 상황에서 안나의 이야기를 보며 위안을 받고 있었다는 내용이었다. 


야한 소설을 쓰는 안나의 이야기에서 그저 나로서 살고 싶은 사람들의 소망으로. 우리는 사회가 짜맞춰놓은 규범에 얽혀있진 않은가신사다워야했던 브라운이 브라운다운 것으로아내 혹은 여성다워야했던 안나는 안나다운 것으로. 나만이 내가 내세울 수 있는 덕목이다. 그렇기에 특별하다.


나는 나를 말하는 사람

내가 나라는 이유로 죄가 되고 

내가 나라는 이유로 벌을 받는

문제투성이 세상에 하나의 오답으로 남아

내가 나라는 이유로 지워지고

나라는 이유로 사라지는

티없이 맑은 시대에 새까만 얼룩을 남겨

나를 지키는 사람


Editor  정다현



e-mail   luvmyself99@naver.com

instagram  @from_hyun_to_u


관련 연재글